환경 변수(Enviornment Variables) 를 활용해 설정값을 외부로 분리한다. YAML 파일에 중요한 정보 노출을 숨길 수 있다.
spring:
datasource:
url: ${LOCAL_DB_URL}
username: ${LOCAL_DB_USERNAME}
security:
oauth2:
client:
registration:
kakao:
client-id: ${KAKAO_OAUTH_CLIENT_ID}
client-secret: ${KAKAO_OAUTH_CLIENT_SECRET}
1: IDE 를 통한 환경 변수 주입 (운영체제에서 주입)
modify options -> environment variables
2: Property Override (Spring boot property 직접 주입)
Spring 의 property를 덮어 쓰는 방법으로, 외부 변수명이 아닌 Spring Property 이름을 그대로 사용
트러블 슛팅: Spring Boot Application 실행시 환경변수가 올바르게 작동하였지만, Test코드는 에러가 났다.
결론: 다른 테스트 코드의 환경 변수도 변경해 주어야 올바르게 작동함을 배웠다. 또한 환경변수 설정방법에는 두가지가 있음을 배웠다.
'페스트캠퍼스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어드민] 데이터베이스 접근 로직 (0) | 2025.01.08 |
---|---|
[어드민] 도메인 설계 (0) | 2025.01.06 |
[어드민] 어드민 프로젝트 환경 셋팅 (0) | 2025.01.02 |
보안 기능 고도화 - Vault SpringBoot (0) | 2024.1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