빈 프로젝트 생성 -> 스프링부트로 생성한 것이 아니라 기본 요소들이 없다.
그중 하나가 JDK 설정
JDK 란
자바 개발 키트의 약자로 개발자들이 자바로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SDK 키트라 생각하면 된다.
jdk 안에는 자바를 개발 시 필요한 라이브러리들과 javac, javadoc 등의 개발 도구들을 포함되어 있고, 개발을 하려면 자바 프로그램도 실행 해줘야 하기 때문에 JRE 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.
모듈 형식으로 파일 생성
위에서 빈 프로젝트로 파일을 생성한 이후, 모듈 형식으로 프로젝트 생성
Application 설정 파일 변환
application.properties -> application.yml 로 수정
기존 properties 파일은 ISO-8859-1 인코딩 방식으로 되어 있어 한글을 지원하지 안는다.
utf-8을 지원해 주는 yaml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
포트 및 라이브 리로드 설정
어드민 프로젝트를 게시판 프로젝트와 함께 띄위기 위해 포트 변경
라이브 리로드 설정도 함께 변경
server.port: 8081
spring:
devtools:
livereload:
port: 35730
게시판 서비스에 8080 포트가 이미 쓰여있기 때문에 8081 포트로 새로 생성해준다.
다른 방식으로 contextload 실행
환경 변수 고도화에서 test 에서 contextloads 가 에러가 나서
test 에서도 환경변수를 설정해 준 경험이 있다.
spring:
config.activate.on-profile: test
datasource.url: jdbc:h2:mem:testdb// testdb 스키마에 인 메모리 DB 로 동작
application.yaml
인 메모리(In-Memory) DB
시스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,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식보다 성능은 좋지만, 프로그램이나 DB를 종료하면 데이터가 손실
@ActiveProfiles("test")
@SpringBootTest
class FastCampusProjectBoardAdminApplicationTests {
@Test
void contextLoads() {
}
}
@ActiveProfiles 어노테이션 : 스프링 테스트가 실행될 때 활성화 되어야 하는 프로필을 지정하는데 사용
'페스트캠퍼스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어드민] 데이터베이스 접근 로직 (0) | 2025.01.08 |
---|---|
[어드민] 도메인 설계 (0) | 2025.01.06 |
보안 기능 고도화 - Vault SpringBoot (0) | 2024.12.26 |
보안 기능 고도화 - 환경 변수의 사용 (2) | 2024.12.22 |